728x90
반응형

JavaScript/JavaScript 기초 14

[JavaScript] 배열

배열 배열이란 순서가 있는 리스트와 같다. 아래는 배열을 만드는 방법이다. T1 = ['zeus', 'oner', 'faker', 'gumayusi', 'keria']; 이름을 정하고 대괄호로 묶어준다. 대괄호 안에서는 , 로 구분한다. 배열을 탐색 할 때는 index 라는 고유 번호를 사용한다. index는 0부터 시작한다. index를 이용해 값을 읽어올 수 있다. T1 = ['zeus', 'oner', 'faker', 'gumayusi', 'keria']; console.log(T1[2]); console.log(T1[4]); 수정도 가능하다. T1 = ['zeus', 'oner', 'faker', 'gumayusi', 'keria']; T1[0] = 'marin'; T1[1] = 'bengi'; ..

[JavaScript] method, this

method method는 객체의 프로퍼티로 할당 된 함수를 말한다. singer = { name : 'lee mun se', age : 65, sing : function() { console.log("노래합니다."); } } singer.sing(); this 객체 method안에서 this는 객체를 가리킨다. singer = { name : 'lee mun se', age : 65, song : "가로수 그늘 아래 서면", sing : function() { console.log(`노래합니다. '${this.song}'`); } } singer.sing(); this는 실행되는 시점에 결정된다. 아래 코드에서 this는 실행 시점에 따라 boy 또는 girl이 된다. boy = { name : 'Z..

[JavaScript] 객체

객체 객체는 자바스크립트의 거의 모든 면에 녹아있는 개념이다. 아래는 객체를 만드는 방법이다. singer = { name : 'lee mun se', age : 65 } 객체는 중괄호 안에 key와 value로 구성된 프로퍼티가 들어간다. 객체에 접근할 때는 . 이나 대괄호를 이용한다. singer = { name : 'lee mun se', age : 65 } console.log(singer.name); console.log(singer['age']); 객체는 추가와 삭제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 과 대괄호를 사용한다. singer = { name : 'lee mun se', age : 65 } singer.gender = 'male'; console.log(singer.name); console..

[JavaScript] 함수 표현식, 화살표 함수

함수 표현식 이전 글에서 배웠던 함수를 작성하는 방식은 함수 선언문이라고 한다. https://dailyjiwoong.tistory.com/entry/JavaScript-%ED%95%A8%EC%88%98 [JavaScript] 함수 함수 같거나 비슷한 동작들을 여러번 사용해야 할 때 하나의 코드를 만든 후 재사용 하는 것이 좋다. 유지와 보수에 용하기 때문이다. 아래는 함수를 작성하는 방법이다. function autograph(celebrity) { dailyjiwoong.tistory.com 아래는 함수 표현식으로 작성한 방법이다. autograph = function(celebrity) { console.log(`잘 먹고 갑니다. -${celebrity}-`); } autograph('호날두'); ..

[JavaScript] 함수

함수 같거나 비슷한 동작들을 여러번 사용해야 할 때 하나의 코드를 만든 후 재사용 하는 것이 좋다. 유지와 보수에 용하기 때문이다. 아래는 함수를 작성하는 방법이다. function autograph(celebrity) { console.log(`잘 먹고 갑니다. -${celebrity}-`); } autograph('메시'); - autograph : 함수 이름 - ( ) : 매개변수, 여러개일 경우 , 로 구분,(생략가능) - { } : 샐행코드 - autograph( ) : 함수 호출, (매개변수 기입) 함수를 한번 만들고 매개변수를 바꿔가며 호출만 하면 같은 내용의 코드를 재사용 할 수 있다. function autograph(celebrity) { console.log(`잘 먹고 갑니다. -${..

[JavaScript] switch

switch switch문은 else if와 비슷하다. 아래 코드는 switch를 사용하는 예시이다. floor = prompt('몇 층으로 갈까요?'); switch(floor){ case '1' : console.log('1층 입니다.'); break; case '2' : console.log('2층 입니다.'); break; case '3' : console.log('3층 입니다.'); break; } case는 괄호안의 값과 동일할 때 실행되며, break를 만나면 switch문을 빠져나간다. case에 없는 값이 들어오면 코드는 실행되지 않는다. 이때 사용자는 오류 여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default를 추가한다. default는 if문의 else와 같은 역할을 한다. floor = prom..

[JavaScript] 반복문

반복문 반복문은 동일한 작업을 여러번 반복할 때 사용한다. for ;를 이용하여 3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 초기값 : 반복문에 진입할 때 처음 한번만 실행된다. - 조건 : 반복문을 진행하며 조건을 확인하고 false가 되면 멈춘다. - 코드 실행 후 작업 : 코드를 실행한 뒤, 조건이 true일 경우 실행한다. for(i=0; i < 5; i++) { console.log("공습경보! 공습경보!"); } for은 명확한 반복 횟수가 정해져 있을 때 사용한다. while while 뒤 괄호에 조건을 작성한다. 반복될 부분에 초기값을 증가시키는 코드를 작성한다. i = 0; while(i

[JavaScript] 논리 연산자

논리 연산자 자바스크립트에는 3가지의 논리 연산자가 있다. || (or) 좌항, 우항 중 하나라도 true일 때 true true를 발견하는 즉시 평가를 멈춤 math = 30; eng = 70; kor = 60; if(math > 50 || eng > 50 || kor > 50 ) { console.log('합격'); } else { console.log('불합격'); } && (and) 좌항, 우항 모든값이 true일 때 true false를 발견하는 즉시 평가를 멈춤 math = 30; eng = 70; kor = 60; if(math > 50 && eng > 50 && kor > 50 ) { console.log('합격'); } else { console.log('불합격'); } ! (not) t..

[JavaScript] 비교 연산자, 조건문

비교 연산자 수학 시간에 숫자의 크기를 비교하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JavaScript 에서도 부등호를 사용한다. : 우항이 좌항보다 작다. = : 우항이 좌항보다 작거나 같다. == : 우항과 좌항이 같다. != : 우항과 좌항이 같지 않다. 비교 연산자를 사용하면 항상 Boolean형을 반환한다. console.log(2>1); // true console.log(2=2); // true console.log(3= 70) { console.log('합격입니다.'); } 불합격 문구를 띄우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한다. grade = 50; if(grade >= 70) { console.log('합격입니다.'); } if(grade < 70) { console.log('불합격입니다.'); } els..

[JavaScript] 기본 연산자

기본 연산자 숫자형에 대해 배울 때 같이 나왔던 부호들이다. https://dailyjiwoong.tistory.com/entry/JavaScript-%EC%9E%90%EB%A3%8C%ED%98%95 [JavaScript] 자료형 자료형 자료형 (data type) 이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여러종류의 데이터를 식별하는 분류를 말한다. name = 'jiwoong'; age = 4; 위 코드에서 'jiwoong' 은 문자형, 4 는 숫자형이다. 문자형 문자형을 만들 때 dailyjiwoong.tistory.com + : 더하기 - : 빼기 * : 곱하기 / : 나누기 (몫) % : 나누기 (나머지) ● %는 홀수와 짝수를 구분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홀수는 X % 2 의 값이 1이 되고, 짝수는 X % 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