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반응형
객체
객체는 자바스크립트의 거의 모든 면에 녹아있는 개념이다.
아래는 객체를 만드는 방법이다.
singer = {
name : 'lee mun se',
age : 65
}
객체는 중괄호 안에 key와 value로 구성된 프로퍼티가 들어간다.
객체에 접근할 때는 . 이나 대괄호를 이용한다.
singer = {
name : 'lee mun se',
age : 65
}
console.log(singer.name);
console.log(singer['age']);
객체는 추가와 삭제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 과 대괄호를 사용한다.
singer = {
name : 'lee mun se',
age : 65
}
singer.gender = 'male';
console.log(singer.name);
console.log(singer['age']);
console.log(singer.gender);
삭제할 때는 앞에 delete를 추가한다.
singer = {
name : 'lee mun se',
age : 65
}
singer.gender = 'male';
delete singer.gender;
console.log(singer.name);
console.log(singer['age']);
console.log(singer.gender);
in 연산자로 객체 내에 프로퍼티가 존재하는지 알 수 있다.
singer = {
name : 'lee mun se',
age : 65
}
singer.gender = 'male';
delete singer.gender;
console.log(singer.name);
console.log(singer['age']);
console.log('gender' in singer);
for ... in
for ... in 반복문으로 객체 내부를 돌며 값을 얻을 수 있다.
singer = {
name : 'lee mun se',
age : 65
}
for(a in singer) {
console.log(a);
console.log(singer[a]);
}
a는 객체의 key를 의미하며 singer[a] 로 객체의 value에 접근한다.
728x90
반응형
'JavaScript > JavaScript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배열 (0) | 2024.03.03 |
---|---|
[JavaScript] method, this (0) | 2024.03.02 |
[JavaScript] 함수 표현식, 화살표 함수 (0) | 2024.03.01 |
[JavaScript] 함수 (0) | 2024.02.28 |
[JavaScript] switch (2) | 2024.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