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반응형
switch
switch문은 else if와 비슷하다.
아래 코드는 switch를 사용하는 예시이다.
floor = prompt('몇 층으로 갈까요?');
switch(floor){
case '1' :
console.log('1층 입니다.');
break;
case '2' :
console.log('2층 입니다.');
break;
case '3' :
console.log('3층 입니다.');
break;
}
case는 괄호안의 값과 동일할 때 실행되며, break를 만나면 switch문을 빠져나간다.
case에 없는 값이 들어오면 코드는 실행되지 않는다. 이때 사용자는 오류 여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default를 추가한다.
default는 if문의 else와 같은 역할을 한다.
floor = prompt('몇 층으로 갈까요?');
switch(floor){
case '1' :
console.log('1층 입니다.');
break;
case '2' :
console.log('2층 입니다.');
break;
case '3' :
console.log('3층 입니다.');
break;
default :
console.log('해당 층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
정리
switch문은 if문으로 바꿔 쓸 수 있다.
하지만 다양한 케이스를 다뤄야 할 때, 코드를 보다 간결하게 작성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JavaScript > JavaScript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함수 표현식, 화살표 함수 (0) | 2024.03.01 |
---|---|
[JavaScript] 함수 (0) | 2024.02.28 |
[JavaScript] 반복문 (0) | 2024.02.27 |
[JavaScript] 논리 연산자 (0) | 2024.02.26 |
[JavaScript] 비교 연산자, 조건문 (0) | 2024.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