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단어장 3

객체 리터럴

객체 리터럴 리터럴 표기법은 코드 상에서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법이다. 문자열을 ", ' ,` 으로 만드는 것 처럼 객체도 생성하는 방법이 존재한다. 객체를 생성할 때는 객체 리터럴을 사용한다. 객체 리터럴은 자바스크립트에서 객체를 생성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다. let user = { name : 'faker', position : mid } 객체 리터럴은 중괄호 안에 0개 이상의 key와 key에 맞는 value가 있어야한다. key와 value 한 쌍을 프로퍼티라고 하며, 프로퍼티를 나열할 때는 , 를 사용한다.

단어장 2024.03.06

TDZ

TDZ (Temporal Dead Zone) 스코프 시작 지점부터 초기화 시작 지점까지의 구간. https://dailyjiwoong.tistory.com/entry/%EC%8A%A4%EC%BD%94%ED%94%84 스코프 스코프 유효범위를 뜻한다. 자바스크립트에서는 함수 스코프와 블록 스코프 개념이 존재한다. 자바스크립트에서 함수를 선언하면 새로운 스코프를 생성한다. 이를 함수 스코프라고 하며, 함수 dailyjiwoong.tistory.com 이 구간에서는 변수를 사용하지 못한다. 아래 코드의 TDZ 는 3번째 줄이다. let num = 5; function showNum() { console.log(num); // TDZ let num = 6; } showNum(); 4번째 줄의 num이 호이스팅 ..

단어장 2024.03.05

스코프

스코프 유효범위를 뜻한다. 자바스크립트에서는 함수 스코프와 블록 스코프 개념이 존재한다. 자바스크립트에서 함수를 선언하면 새로운 스코프를 생성한다. 이를 함수 스코프라고 하며, 함수 안에서 선언한 변수는 함수 안에서만 접근 가능하다. 블록 스코프는 함수, if문, for문, while문, try/catch문이 생성한 스코프를 뜻한다. 마찬가지로, 블록 안에서 선언한 변수는 블록 안에서만 접근 가능하다. ● var는 함수 스코프를 벗어날 수 없다. function sum(a, b) { var result = a + b; } sum(1,2); console.log(result); 함수 내에서 result를 var로 선언했기 때문에 함수 밖에서 result를 출력하면 오류가 발생한다. ● let, const는..

단어장 2024.03.0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