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JavaScript 기초

[JavaScript] 비교 연산자, 조건문

J1woong 2024. 2. 25. 23:59
728x90
반응형
반응형

비교 연산자

 수학 시간에 숫자의 크기를 비교하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JavaScript 에서도 부등호를 사용한다.

 

 < : 우항이 좌항보다 크다.

 > : 우항이 좌항보다 작다.

 <= : 우항이 좌항보다 크거나 같다.

 >= : 우항이 좌항보다 작거나 같다.

 == : 우항과 좌항이 같다.

 != : 우항과 좌항이 같지 않다.

 

 비교 연산자를 사용하면 항상 Boolean형을 반환한다.

console.log(2>1);  // true
console.log(2<1);  // false
console.log(3>=2);  // true
console.log(3<=2);  // false
console.log(2==1);  // false
console.log(2!=1);  // true

 

 같음을 표현할 때, 자료형까지 비교하려면 ===을 사용한다.

console.log(1=='1');  // true
console.log(1==='1');  // false

 

 ==숫자 1문자 1을 같다고 여기는 반면, ===자료형이 다르기 때문에 다르다고 여긴다.

 따라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 보다 === 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조건문

 비교 연산자를 활용해 조건문을 만들 수 있다. 조건문조건에 따라 이후 동작이 달라진다.

 

if

 아래 코드는 if괄호true 이면 중괄호가 실행된다.

grade = 80;
if(grade >= 70) {
	console.log('합격입니다.');
}

 

 불합격 문구를 띄우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한다.

grade = 50;
if(grade >= 70) {
	console.log('합격입니다.');
}

if(grade < 70) {
	console.log('불합격입니다.');
}

 

else

 elseif문의 조건이 false일때 실행된다.

 else를 사용하여 코드를 더 간단하게 작성할 수 있다.

grade = 50;
if(grade >= 70) {
	console.log('합격입니다.');
} else {
	console.log('불합격입니다.');
}

 

else if

 else if 를 사용하여 추가 조건을 넣을 수 있다.

 점수가 0점 일 때 힘내세요 문구를 넣고 싶다면 이렇게 한다.

grade = 0;
if(grade >= 70) {
	console.log('합격입니다.');
} else if(grade === 0) {
	console.log('힘내세요');
} else {
	console.log('불합격입니다.');
}
728x90
반응형

'JavaScript > JavaScript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반복문  (0) 2024.02.27
[JavaScript] 논리 연산자  (0) 2024.02.26
[JavaScript] 기본 연산자  (0) 2024.02.25
[JavaScript] 형 변환  (0) 2024.02.25
[JavaScript] 대화 상자  (2) 2024.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