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
변수는 어떤 정보에 이름을 붙여 저장할 때 사용한다.
name = 'jiwoong';
age = 4;
name 이라는 변수에는 'jiwoong' 이라는 값이 들어가고, age 라는 변수에는 4 라는 값이 들어간다.
이 때, 줄 마지막에 붙는 ; (세미콜론) 은 한 줄이 끝났다는 의미 이며, 생략 가능하지만 항상 적어주는 것을 권장한다.
두 변수의 차이점은 ' 의 유무이다. jiwoong 은 ' 로 감싸져 있지만 4 는 그렇지 않다.
자바 스크립트에서 문자열(string) 은 항상 ' 또는 " 로 감싸져 있어야 한다.
아래의 코드는 오류를 발생시킨다.
class = 'english'
변수를 생성할 때 예약어를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하자.
예약어 (reserved world) 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문법적인 용도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식별자로 사용할 수 없는 단어를 말한다. 자바스크립트에서 class 는 변수명으로 사용할 수 없다.
이제 변수에 접근하기 위해 두가지 함수를 배운다.
● alert()
() 안의 내용을 경고창으로 띄운다.
● console.log()
() 안의 내용을 콘솔창에 띄운다.
사실, 변수를 선언할 때 아래와 같은 방법은 위험하다.
name = 'jiwoong';
age = 4;
선언된 변수명이 유일하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이다. 개인이 만드는 작은 프로젝트의 경우 상관없지만, 여러명이 참여하는 큰 프로젝트의 경우, 다른 개발자가 name 이라는 변수를 사용하게 되면 마지막에 선언된 내용으로 덮어씌워진다.
이를 방지하기위해 두가지 키워드가 존재한다.
● let
let name = 'jiwoong';
// 아래는 다른 개발자가 작성
let name = 'messi';
위 함수는 구문 오류를 발생시킨다. 구문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본 다른 개발자는 변수명을 변경할 것이다.
let 은 한번 선언 후에 다른 값으로 바꿀 수 있다.
let name = 'jiwoong';
name = 'messi';
그럴 경우, 의도적으로 let 을 생략한다.
● const
const 는 절대 바뀌지 않는 상수 를 입력할 때 사용한다. const 로 선언된 변수를 바꾸려고 하면 오류가 발생한다.
보통 대문자로 선언한다.
const PI = 3.14;
정리
- 변수는 문자와 숫자, $와 _만 사용한다.
- 첫글자는 숫자가 될 수 없다.
- 예약어는 사용할 수 없다.
- 상수 는 대문자로 선언한다.
- 변수명은 읽기 쉽고 이해하기 쉽게 선언한다.
'JavaScript > JavaScript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비교 연산자, 조건문 (0) | 2024.02.25 |
---|---|
[JavaScript] 기본 연산자 (0) | 2024.02.25 |
[JavaScript] 형 변환 (0) | 2024.02.25 |
[JavaScript] 대화 상자 (2) | 2024.02.24 |
[JavaScript] 자료형 (2) | 2024.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