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 문자열 메소드
이전에 자료형을 배울 때 문자열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았다.
https://dailyjiwoong.tistory.com/entry/JavaScript-%EC%9E%90%EB%A3%8C%ED%98%95
[JavaScript] 자료형
자료형 자료형 (data type) 이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여러종류의 데이터를 식별하는 분류를 말한다. name = 'jiwoong'; age = 4; 위 코드에서 'jiwoong' 은 문자형, 4 는 숫자형이다. 문자형 문자형을 만들 때
dailyjiwoong.tistory.com
이번에는 문자열과 문자열 메소드에 대해 조금 더 배워보자.
`
여러줄을 포함할 수 있다.
let hi = `안녕하세요는 영어로
hello 입니다.`;
같은 코드를 따옴표를 이용하면 \n 을 사용해야한다.
let hi = '안녕하세요는 영어로\n hello 입니다.';
length
let hi = 'hello.';
console.log(hi.length);
console.log(hi[1]);

배열과 동일하게 length를 사용하여 문자열의 길이를 알 수 있다.
또한, 대괄호를 이용하여 특정 위치에 접근할 수 있다. 하지만 배열처럼 그 위치의 값만 바꾸지는 못한다.
toUpperCase() / toLowerCase()
영어의 경우 대/소문자가 존재한다.
toUpperCase()는 모든 문자를 대문자로, toLowerCase()는 모든 문자를 소문자로 바꿔준다.
let hi = 'HellO.';
console.log(hi.toUpperCase());
console.log(hi.toLowerCase());

indexOf()
문자를 인수로 받아 몇번째에 위치하는지 알려준다.
찾는 문자가 없다면 -1을 반환하고 포함된 문자가 여러개라도 첫번째 위치만 반환한다.
let hi = 'Hello.';
console.log(hi.indexOf('ll'));
console.log(hi.indexOf('x'));

slice()
첫번째 인자와 두번째 인자까지의 문자열을 반환한다.
두번째 인자가 없다면 문자열 끝까지, 양수라면 그 숫자 바로 앞까지, 음수라면 끝에서부터 반환한다.
let hi = 'Hello.';
console.log(hi.slice(1));
console.log(hi.slice(0,3));
console.log(hi.slice(1,-1));

substring()
첫번째 인자와 두번째 인자 사이의 문자열을 반환한다.
인자의 순서가 바뀌어도 상관없다. 음수는 0으로 인식한다.
let hi = 'Hello.';
console.log(hi.substring(1,3));
console.log(hi.substring(3,1));
console.log(hi.substring(-1,5));

substr()
첫번째 인자부터 두번째 인자 개수만큼의 문자열을 반환한다.
let hi = 'Hello.';
console.log(hi.substr(1,3));

trim()
문자열 앞,뒤 공백을 제거한다.
let hi = ' Hello. ';
console.log(hi.trim());

repeat()
문자열을 인수만큼 반복한다.
let hi = 'Hello.';
console.log(hi.repeat(3));

문자열 비교
문자열도 비교가 가능하다.
아스키 코드에 기반하여 비교한다.
ASCII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972 프린터 사용 설명서에 개시된 아스키 코드 차트표 미국정보교환표준부호(영어: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또는 줄여서 ASCII( , 아스키)는 영문
ko.wikipedia.org
console.log('a' < 'c');
console.log('a' < 'A');

a에서 z로 갈수록, 대문자보다 소문자가 크다.